본문 바로가기

맘짜랑 Step by Step44

[step7-② 먹거리 ] 季(끝/계절 계) 委(맡길 위) 秋(가을 추) 和(화할 화) 禾(벼 화)가 같이 구성된 글자들을 볼게요. 1. 季 (끝/계절 계) 禾와 子로 구성된 季(끝 계/ 계절 계)는 갑골문부터 子가 등장해요. 여기서 子를 식물의 자식인 씨앗으로 보면 훨씬 이해하기 쉬워요. 씨앗을 심고 자라 다시 씨앗을 얻는 한 주기의 마지막을 나타내기에 끝이죠. 끝을 뜻하는 계(季)는 각 계절의 마지막 달을 나타내는 뜻으로 쓰였고, 확장해 날씨를 구분 짓는 계절의 뜻을 나타내게 되었어요. * 계부(季父/아버지 부) : 아버지의 막내 동생 * 계녀(季女) : 여러 딸 중 막내딸 * 절계(節/마디 절季) : 계절의 끝 * 季(끝/계절 계) 쓰임 季(끝/계절 계)는 동계(冬/겨울 동季) : 겨울 시기, 하계(夏/여름 하季) : 여름 시기, 사계(四/넉 사季) : 봄˙여름˙가을˙겨울 네 계절, .. 2023. 3. 28.
[step7-① 먹거리 ] 禾(벼 화) 黍(기장 서) 곡식을 대표하는 禾(벼 화)와 벼 만큼이나 중요한 곡물이었던 黍(기장 서)를 볼게요. 1. 禾 (벼 화) 禾(벼 화)의 갑골문을 보면 알곡이 무르익어 축 처진 모습을 표현하고 있어요. 이런 모습은 벼 뿐만 아니라, 조, 기장 등 여러 곡식에서 볼 수 있어요. 실제로 금문이 쓰여졌던 주나라의 대표 곡물은 기장과 조였어요. 그래서 禾(벼 화)를 벼으로만 보지 않고 넓은 뜻인 곡식으로 보아야 禾(벼 화)와 같이 구성된 글자들을 쉽게 이해 할 수있어요. 2. 黍 (기장 서) 벼 생산이 주가 되기 전 기장은 중요한 곡식 중 하나였는데 기장은 크게 찰기가 많은 찰기장과 찰기가 적은 메기장으로 나뉘어요. 특히 찰기장을 나타내는 黍(기장 서)를 보면 수분이 많은 특징답게 水→氺(물 수)가 들어갔어요. 갑골문과 금문을 .. 2023. 3. 27.
[Step6-④ 一 , 二] 仁(어질 인), 亘 (뻗칠 긍), 桓(푯말/굳셀 환), 宣(베풀 선) 二(두 이)는 숫자 2와 같은 뜻이지만 글자 안에서는 대등 관계를 나타냈었죠. 먼저 二(두 이)가 구성된 仁(어질 인)을 볼게요. 1. 仁 (어질 인) 人(사람 인)이 부수인 仁(어질 인)에서 二(두 이)를 「같다」 뜻으로 보고 풀어보면 「사람이 같다」라고 할 수 있죠. 상대의 마음과 같아질 수 있어서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고 대하는 사람이야 말로 덕이 높은 어진 사람이겠죠.^^ 仁(어질 인)의 옛 글자체로 二(두 이)와 마음을 나타내는 心(마음 심)이 구성된 「忈」 글자를 보면 같아지는 마음이 더 잘 느껴지죠. * 仁(어질 인) 쓰임 仁(어질 인)의 쓰임을 보면 인자(仁慈/사랑 자) : 마음이 어질고 베푸는 사랑이 넘치는 마음 , 인의예지(仁義/옳을 의禮/예도 례智/지혜 지) : 공자의 가르침으로 어질고.. 2023. 3. 7.
[Step6-③ 一 , 二] 天(하늘 천), 雨 (비 우), 旦(아침 단), 但(다만 단) 一(하나 일)이 하늘과 땅으로 표현되기도 해요. 먼저 하늘로 표현된 天(하늘 천), 雨(비 우)을 볼게요. 1. 天 (하늘 천) 一 (하나 일)과 大(큰 대)가 구성된 天(하늘 천)을 보면 사람이 팔 벌리고 서 있는 大(큰 대) 위에 一 (하나 일)이 하늘을 나타내고 있어요.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하늘을 네모, 동그라미, 一로 나타내고 있어요. 표현하기 어려운 하늘을, 사람을 기준으로 잘 표현했죠. * 天(하늘 천) 쓰임 天(하늘 천)은 천지(天地/땅 지) : 하늘과 땅 사이 사람이 사는 세상, 천하(天下/아래 하) : 하늘 아래 온 세상, 천체(天體/몸 체) : 행성 항성 위성 등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 천문(天文/글월 문) : 천체 운행 등 우주 천체의 모든 현상, 천성(天性/성품 성) : 선천.. 2023. 3. 7.
[Step6-② 一 , 二] 未(아닐 미), 味(맛 미), 妹(누이 매), 昧(새벽/어두울 매) 一 (하나 일)이 무성한 나뭇가지를 표현한 未(아닐 미)를 볼게요. 1. 未 (아닐 미) 未(아닐 미)는 一 (하나 일)과 木(나무 목)으로 구성되었어요. 갑골문부터 소전체를 보면 나뭇가지의 획을 한번 더 그어서 나뭇가 무성하게 자란 모습으로 표현되었어요. 해서체에서는 이렇게 무성한 나뭇가지를 一 (하나 일)로 표현했구요. 末(끝 말)과 비슷하지만 一 (하나 일)획이 짧죠? 가지가 무성한 크리스마스트리를 생각하면 기억하기 쉬워요. 未(아닐 미)는 나뭇가지가 무성한 뜻으로 쓰여지지 않고 무성히 자랐지만 아직 열매를 맺지 못한 것처럼 「 아직 미치지 못하다 」, 또 아직 이르지 못한 의미의 「 아니다」 뜻으로 쓰여져요. 또 未(아닐 미)는 12지지 중 8번째 지지로 가차 되었는데 옛부터 12지지는 날짜, 시.. 2023. 3. 7.
[Step6-① 一 , 二] 一(한 일), 二(두 이), 本(근본 본), 本(끝 말) [맘짜 6단계]에서는 글자 안에서 一 (하나 일)과 二 (두 이)가 같이 구성되어질 때 다양한 쓰임을 볼게요. 1. 一 (한 일) 二 (두 이) 一 (하나 일)은 숫자 1과 같은 '하나'가 뜻하고 二 (두 이)는 숫자 2과 같은 '둘'의 뜻을 가지고 있어요. 一 (하나 일), 二 (두 이)는 사물을 본뜬 글자인 상형자(象形字)와 달리 글자 자체가 뜻을 나타내는 지사자(指事字)예요. 한자를 6가지로 분류한「육서」중 「지사」 알아보기 ▶ 글자 구성에서 一 (하나 일), 二 (두 이)는 단순히 1, 2의 뜻으로 쓰이지 않고 여러 의미로 구성되고 있어요. 특히 나무처럼 딱딱하게 표현된 해서체에서는 一 (하나 일)이 다양하게 쓰이는데 鳥(새 조)에서는 눈을 나타내는 획으로, 日(날 일)에서는 꽉 찬 빛의 모습으로.. 2023. 3. 7.
[Step5-④ 宀 , 冖] 榮(꽃/영화 영), 熒(등불 형), 螢(반딧불이 형) 이번엔 冖(덮을 멱)이 구성된 榮(꽃/영화 영)을 볼게요. 1. 榮 (꽃/영화 영) 榮(꽃/영화 영)의 글자 구성만 보면 冖(덮을 멱) 이 나무 전체를 덮고 불빛을 뿜어내는 듯하죠. 봄날에 핀 복숭아꽃처럼 나무에 활짝 핀 꽃을 표현했어요. 冖(덮을 멱)과 火(불 화), 木(나무 목)의 환상적인 조합이죠. 너무 멋지게 표현한 것 같아요. 금문에서는 꽃가지가 교차하여 꽃잎이 날리듯 표현하였고 소전체부터 冖(덮을 멱)이 등장해서 지금의 글자체가 되었어요. 이렇게 꽃을 피워 한 해 중 가장 아름다운 때를 사람에 비유해서 일신이 귀하게 되어 세상에 이름을 내는 영화 뜻도 가지게 되었어요. * 榮(꽃/영화 영) 쓰임 榮(꽃/영화 영)의 쓰임을 보면 빛 광(光)과 같이 하여 이름을 빛내고 영화로운 뜻인 영광(榮光) .. 2023. 2. 27.
[Step5-③ 宀 , 冖] 安(편안 안), 宴(잔치 연), 案 (책상 안) 이번엔 宀(집 면)과 女(여자 녀)가 같이 구성된 安(편안 안), 宴(잔치 연), 案(책상 안)을 볼게요. 1. 安 (편안 안) 安(편안 안)의 글자 구성을 보면 집 안에 여성이 편안하게 있는 모습으로 보이죠. 남녀 구분이 심했던 옛날 여성들은 아이를 양육하는 일뿐만 아니라 식구들이 먹는 음식, 실을 자아내고 천을 짜는 길쌈부터 옷 짓기 등 많은 일들을 쉴 새 없이 하였어요. 그래서 여성이 집안에서 편안하다기 보다는 오히려 여성이 집안일을 살피고 식구들을 보살펴 주기에 식구들과 남성의 입장에서 편안한 의미로 보는 것이 더 설득력 있죠. * 安(편안 안) 쓰임 安(편안 안)의 쓰임을 보면 쉴 식(息)과 함께 하여 편히 쉼을 뜻하는 안식(安息), 살 주(住)와 같이 하여 한 곳에 자리를 잡고 편히 사는 안주.. 2023. 2. 22.
[Step5-② 宀 , 冖] 字(글자 자) , 宋(송나라 송) 宀(집 면)이 구성된 字(글자 자), 宋(송나라 송)을 볼게요. 1. 字 (글자 자) 宀(집 면)과 子(아들 자)로 구성된 字(글자 자)를 보면 집 안에서 아이가 있는 모습처럼 보이죠. 본래 글자 구성처럼 집에서 아이를 키우는 뜻으로 쓰여졌지만 엄마, 아빠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나 새로운 식구가 불어나는 것에 빗대어 沐(머리감을 목)이나 休(쉴 휴)처럼 두 개 이상의 글자가 합쳐져 새롭게 만들어진 글자를 뜻하게 되었어요. 순우리말의 예로는 「눈」과 「물」이 합쳐진 「눈물」, 「코」와 「물」이 합쳐진 「콧물」 등이 있죠. * 字(글자 자) 쓰임 字(글자 자)의 쓰임을 보면 무늬에서 확장된 文(글월 문)과 같이 하여 의사(意思)를 전달하는 글자인 문자(文字) 기원전 BC, 기원후 AD, 또 중국의 간자체처럼 .. 2023. 2. 12.
[Step5-① 宀 , 冖] 宀(집 면) , 冖(덮을 멱) [ 맘짜 5단계 ]에서는 집을 나타내는 집 면(宀)과 정말 재미있는 부수인 덮을 멱(冖)을 볼게요. 획 하나 빼고 글자체가 비슷하죠. 1. 宀 (집 면) 집 면(宀)은 집을 나타낸 글자예요. 갑골문을 보면 기둥과 서까래가 연결된 모습이 보이죠. 집 면(宀)에서 冖(덮을 멱)과 구분되는 첫번째 획이 얼마나 중요한지 인류 초기 형태의 집인 움집의 뼈대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움집은 바람을 막기 위해 땅을 둥글고 평평하게 판 다음, 기둥을 세우고 도리를 얹어 서까래를 거는데, 서까래가 모여있는 부분을 잘 잡아주어야 지붕이 무너지지 않아요. 宀(집 면)에서 첫번째 획은 서까래를 잡아주는 부분에 해당해요. 집에 공간이 생기게 하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죠. 해서체에서는 지붕만 그린 듯 짧게 표현되었어요. 한옥.. 2023.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