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저러 한자 이야기3 12지지(地支) 옛부터 지지(地/땅 지支/지탱할 지)는천간(天/하늘 천干/방패 간 )과 함께 날짜, 시간, 방위, 별자리 등을 나타냈는데, 천간과 지지는 음양오행의 원리를 담고 있어요. 음양오행을 간단히 짚어보면 음양(陰/그늘 음陽/볕 양)은 하늘과 땅, 낮과 밤, 불과 물, 남자와 여자처럼 모든 만물은 음과 양으로 생(生/날 생)하여 조화롭게 공존하며 발생과 소멸을 반복하는 원리이고, 오행(五/다섯 오行/다닐 행)은 모든 만물이 발생과 소멸하는 과정에서 목(木/나무 목) → 화(火/불 화) → 토(土/흙 토) → 금(金/쇠 금) → 수(水/물 수) 다섯 기운으로 순환하는 원리예요. 천간은 10글자, 지지는 12글자로 10천간은 보이지 않는 하늘(+)의 운행을 나타내고 12지지는 보이는 땅(-)의 운행을 나타내는데 각각.. 2023. 1. 6. 한자를 6가지로 분류한 육서(六書) 육서(六書) 는 한자를 만드는 방법 과 활용하는 방법 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한 것을 말해요. '육서'란 말이 처음 주례(周禮) 에서 등장했고 처음 분류되어 설명된 곳은 설문해자 였어요. Ⅰ. 상형(象形) 象形者 畫成其物 隨體詰詘 日月是也 상형이란 획을 그어 사물을 이룬 것이다. 형체를 따라 특징이 드러나게 구부린다. 日(날 일) 月(달 월)이 이러하다. [설문해자] ① 상형(象形) 象(모양/코끼리 상) 形(형상 형) : 뜻 그대로 사물을 본뜬 글자예요. 새, 산, 문을 그대로 본뜬 鳥(새 조) 山(메 산) 門(문 문)과 같은 글자를 말해요. 부수 214자 중 상형자가 70%를 차지하기 때문에 한자를 공부할 때 제일 먼저 공부하는 글자예요. 상형자가 한자에서 차지하는 비율(4%)은 높지 않지만 상형자가 빠.. 2022. 10. 8. 부수 유래 & 부수 위치별 명칭 한자 부수를 한글에 비유하면 자음, 모음처럼 글자를 이루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예요. 한글은 소리 자체를 나타내는 소리글자(음소 문자_音素文字)이지만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에 뜻을 가지고 있는 뜻글자(표의 문자_表意文字)죠. 그래서 한자는 여러 부수들이 다양한 형태로 모여 수많은 뜻의 글자들을 만들 수 있어요. 중국 교육부(2013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자를 발표하였는데 글자 수가 총 8105자나 되었어요. - 부수 유래 - 옛날 진시황이 전국을 통일하고 문자까지 통일하였지만 통일한 지 15년 만에 멸망(BC206)하게 돼요. 통일된 글자가 잘 정착하기엔 너무나 짧은 기간이였어요. 이후 시대 흐름에 따른 글자 변형, 다른 해석, 지역에 따른 다른 독음(讀音) 등으로 수많은 글자들을 체계적으로 설명.. 2022. 9.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