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수2

부수 유래 & 부수 위치별 명칭 한자 부수를 한글에 비유하면 자음, 모음처럼 글자를 이루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예요. 한글은 소리 자체를 나타내는 소리글자(음소 문자_音素文字)이지만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에 뜻을 가지고 있는 뜻글자(표의 문자_表意文字)죠. 그래서 한자는 여러 부수들이 다양한 형태로 모여 수많은 뜻의 글자들을 만들 수 있어요. 중국 교육부(2013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자를 발표하였는데 글자 수가 총 8105자나 되었어요. - 부수 유래 - 옛날 진시황이 전국을 통일하고 문자까지 통일하였지만 통일한 지 15년 만에 멸망(BC206)하게 돼요. 통일된 글자가 잘 정착하기엔 너무나 짧은 기간이였어요. 이후 시대 흐름에 따른 글자 변형, 다른 해석, 지역에 따른 다른 독음(讀音) 등으로 수많은 글자들을 체계적으로 설명.. 2022. 9. 21.
[Step1-③ 한자랑 친해지기] 한자 부수 알고 門(문 문)! 問(물을 문)! 聞(들을 문)! 이번 시간엔 한자 부수에 대해 알아보고 오묘한 부수의 결합도 살짝 보도록 할게요. 1. 한자 부수 부수는 한글로 비유하면 'ㄱ, ㄴ, ㄷ, ㅏ, ㅑ, ㅓ, ㅕ'와 같이 글자를 이루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예요. 부수는 214자로 한 글자 만으로도 대부분 뜻이 전달돼요. 하지만 같은 글자 부분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목적이 커서 뜻이 있어도 부수에 끼지 못한 글자들도 있어요. 꽤 많죠. 하지만 하나하나씩 특징을 알아가며 한자를 공부하면 쉽게 익힐 수 있어요. 부수 유래 보기 ▶ 2. 門 (문 문) 이번엔 한자 부수 중 미국 서부영화에 나오는 문과 비슷한 門(문 문)을 볼게요. 門(문 문)은 갑골문부터 해서체까지 큰 변화 없이 문의 특징을 살린 글자예요. 일상에서 문은 또 다른 공간을 분리하는 입구이자 서로 .. 2022.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