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하나 일)이 하늘과 땅으로 표현되기도 해요. 먼저 하늘로 표현된 天(하늘 천), 雨(비 우)을 볼게요.
1. 天 (하늘 천)
一 (하나 일)과 大(큰 대)가 구성된 天(하늘 천)을 보면
사람이 팔 벌리고 서 있는 大(큰 대) 위에 一 (하나 일)이 하늘을 나타내고 있어요.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하늘을 네모, 동그라미, 一로 나타내고 있어요.
표현하기 어려운 하늘을, 사람을 기준으로 잘 표현했죠.
* 天(하늘 천) 쓰임
天(하늘 천)은
천지(天地/땅 지) : 하늘과 땅 사이 사람이 사는 세상,
천하(天下/아래 하) : 하늘 아래 온 세상,
천체(天體/몸 체) : 행성 항성 위성 등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
천문(天文/글월 문) : 천체 운행 등 우주 천체의 모든 현상,
천성(天性/성품 성) : 선천적으로 타고난 품성,
천재(天才/재주 재) : 선천적으로 타고난 뛰어난 능력
등 아주 많이 쓰이는 글자 중 하나예요.
2. 雨 (비 우)
이번에도 一 (하나 일)이 하늘을 나타내는 雨(비 우)의
갑골문을 보면 하늘에서 내리는 빗방울이 잘 표현되었죠.
설문해자 에서는 雨(비 우)를
一 (하나 일)은 하늘로,
冖(덮을 멱)처럼 생긴 획은 변신력을 발휘하여 하늘을 덮은 구름으로,
水(물 수)→氺는 떨어지는 빗방울로 풀이 하고 있어요. 쉽게 기억할 수 있겠죠?
雨(비 우)는 구름(雲/구름 운), 눈(雪/눈 설), 번개(電/번개 전), 안개(霧/안개 무) 등 다양한 날씨 상태를 나타낼 때 쓰이는 부수에요.
* 雨(비 우) 쓰임
雨(비 우)도
우기(雨期/기약할 기) : 장마처럼 비오는 기간,
폭우(暴/사나울 폭雨) : 한꺼번에 사납게 내리는 비,
우박(雨雹/우박 박) : 공중에서 큰 물방울이 찬 기운을 만나 얼어서 비처럼 떨어지는 얼음덩어리,
호우(豪/호걸 호雨) : 줄기차게 내리는 큰 비,
우비(雨備/갖출 비) : 비를 맞지 않도록 쓰이는 옷이나 물건,
우산(雨傘/우산 산) : 머리 위로 펼쳐서 비를 가리는 물건,
강우량(降/내릴 강雨量/헤아릴 량) : 일정한 장소와 기간 동안 내린 비의 양
등 많이 쓰이는 글자에요.
이번엔 一 (하나 일)이 지평선으로 표현된 旦(아침 단), 但(다만 단)을 볼게요.
3. 旦 (아침 단) 但 (다만 단)
아침에 지평선 위로 해가 떠오른 모습이 旦(아침 단)이에요.
갑골문부터 소전체를 보면 앞서 보왔던 하늘처럼 땅을 동그라미, 네모, 一 로 표현했죠.
쉬운 글자지만 일상에선 잘 쓰여지진 않아요.
대신 亻(사람인변 인) 부수가 같이 구성된 但(다만 단)이 자주 쓰여요.
但(다만 단)은 해가 떠오르듯이 사람 상반신이 나타나게 표현한 글자에요.
우리가 사진을 찍을 땐 전체 몸에서 머리 부분이 나와야 누구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죠.
但은 몸에서 주요 부분을 나타내듯 말에서 중요한 점을 나타낼 때 쓰이는 「다만」의 뜻으로 쓰여요.
※ 또 잘 쓰이지는 않지만 衣 →衤(옷의변) 부수와 같이 구성되면 袒(웃통 벗을 단)이 되고
주로 고기나 몸을 나타내는 肉→月(육달월) 부수와 같이 구성되면 胆(옷 벗을 단)이 되요. 재밌죠!^^
* 但(다만 단) 쓰임
보통 但(다만 단)은 앞에 말을 받아서 말머리에 「단」을 붙여 쓰이는데
예를 들어 「견우와 직녀는 서로 만날 수 없어요. 단(但), 음력 7월 7일, 칠석날만 만날 수 있어요. 」
이렇게 앞에 말을 받아서 말머리에 붙은 「단(但)」 다음 말은 중요한 말이니까 집중 해야 해요!
※ 참고 문헌 :
* 「한자어원사전」 하영삼 저
* 「갑골문고급자전」 허진웅 저 / 하영삼,김화영 역
* 「완역 설문해자」허신 저 / 하영삼 역
※ 참고 사이트 : * Chines Etymology 字源
'맘짜랑 Step by St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p7-① 먹거리 ] 禾(벼 화) 黍(기장 서) (0) | 2023.03.27 |
---|---|
[Step6-④ 一 , 二] 仁(어질 인), 亘 (뻗칠 긍), 桓(푯말/굳셀 환), 宣(베풀 선) (0) | 2023.03.07 |
[Step6-② 一 , 二] 未(아닐 미), 味(맛 미), 妹(누이 매), 昧(새벽/어두울 매) (0) | 2023.03.07 |
[Step6-① 一 , 二] 一(한 일), 二(두 이), 本(근본 본), 本(끝 말) (0) | 2023.03.07 |
[Step5-④ 宀 , 冖] 榮(꽃/영화 영), 熒(등불 형), 螢(반딧불이 형) (0) | 2023.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