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맘짜랑 Step by Step

[Step6-② 一 , 二] 未(아닐 미), 味(맛 미), 妹(누이 매), 昧(새벽/어두울 매)

by 맘짜 2023. 3. 7.

未(아닐 미)

一 (하나 일)이  무성한 나뭇가지를 표현한 未(아닐 미)를 볼게요.

 

1. (아닐 미)

未 (아닐 미) 갑골문 금문 소전체

 

未(아닐 미)一 (하나 일)木(나무 목)으로 구성되었어요.
갑골문부터 소전체를 보면 나뭇가지의 획을 한번 더 그어서 나뭇가 무성하게 자란 모습으로 표현되었어요.
해서체에서는 이렇게 무성한 나뭇가지를 一 (하나 일)로 표현했구요.

末(끝 말)과 비슷하지만 一 (하나 일)획이 짧죠?
가지가 무성한 크리스마스트리를 생각하면 기억하기 쉬워요.

 

未(아닐 미)는 나뭇가지가 무성한 뜻으로 쓰여지지 않고 무성히 자랐지만 아직 열매를 맺지 못한 것처럼
아직 미치지 못하다 」,  또 아직 이르지 못한 의미의 「 아니다」   뜻으로 쓰여져요.

 

未(아닐 미)12지지8번째 지지가차 되었는데  옛부터 12지지는 날짜, 시간, 방위를 나타낼 때 자주 쓰였어요.      한자를 6가지로 분류한「육서」중 「가차」 알아보기 ▶

 

특히 12지지는 음양오행의 원리를 담고 있어서 오행의 순환과정이 잘 드러난 씨앗의 성장 과정과 잘 맞물리는 것을 알 수 있는데    「12지지」 알아보기 ▶

 

 

8번째 지지(未)는 가지가 무성하게 자라서 꽃을 핀 가장 아름다운 때를 담당하고 있어요.

 

12지지는 각각 특성에 맞게 동물과 짝이 지어졌는데 未(아닐 미)는 꽃 핀 시기와 어울리게
한자에서 아름다움(美/아름다울 미←羊/양양+大/큰 대)을 나타낼 때 쓰이는 동물인 「」과 짝이 되어서
신미년(辛未年), 을미년(乙未年)처럼 미(未)해에 태어난 사람은 양띠가 되요.

美(아름다울 미) ← 羊(양 양)+大(큰 대)

 

 

 

12지지에서 8번째 지지(未)는 계절로는 식물이 쑥쑥 자라는 음력6월,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늦여름,
시간으로는 가장 더운 시간대인 오후 1시~ 3시,
방위로는 남남서쪽(210°)을 가리켜요.

 

 

*(아닐 미) 쓰임

 

未(아닐 미)의 쓰임을 보면
통할 달(達)과 같이 하면 아직 정해진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미달(未達),

혼인할 혼(婚)과 같이 하면 아직 결혼하지 못한 미혼(未婚),

알 지(知)와 같이 하면 아직 알지 못하는 미지(未知),

익힐 숙(熟)과 같이 하면 아직 일이 익숙하지 못한 미숙(未熟),

올 래(來)와 같이 하면 아직 오지 않은 때인 미래(未來),

성년(成年) 앞에 未(아닐 미)가 붙어서 아직 성년이 되지 않은 미성년(未成年) 등에 쓰여요.

찰 만(滿)과 같이 하여 아직 그 수가 차지 않은 미만(未滿),
우리나라 민법상 성년의 나이가 만 19세이기에 19세 미만은 미성년이에요.
未(아닐 미) 쓰임이  많죠.

 

 

 

 

 

味(맛 미), 妹(누이 매), 昧(새벽/어두울 매)

이번엔 未(아닐 미)입 구(口)와 구성된 味(맛 미), 日(날 일)과 구성된 昧(새벽/어두울 매), 女(여자 녀)와 구성된 妹(누이 매)를 같이 볼게요.

 

2.(맛 미),(누이 매),(새벽/어두울 매)

 

복숭아 꽃이 핀 나무

8번째 지지(未)가 꽃은 피웠지만 아직 열매를 맺지 못한 것처럼

 

口(입 구)와 구성되어 
아직 배불리 먹지(口) 못하고 느낌(맛)만 보는 味(맛 미),

味(맛 미) 소전체

 

妹(누이 매) 금문 소전체

日(날 일)과 구성되어 
해 뜰 기미는 보이지만 해(日)가 밝게 뜨지 않아 아직 어두운 昧(새벽/어두울 매),

 

妹(누이 매) 갑골문 금문 소전체

女(여자 녀)와 구성되어 
여인(女)이 윗 형제에 미치지 못한 어린 여동생인 妹(누이 매),


이렇게 未(아닐 미)만 알아도 금방 이 세 글자를 익힐 수 있죠.

 

이 밖에도 아직 익히지 않았지만 재밌는 글자로
鬼(귀신 귀)와 같이 구성되면
귀신(鬼)은 아니지만 귀신처럼 홀리는 魅(매혹할 매)도 있어요. 재밌죠.

 

 

*(아닐 미)(누이 매)(새벽/어두울 매) 쓰임

 

각각 쓰임을 보면 味(맛 미)깨달을 각(覺)과 함께 하여 쓴맛 단맛 등 맛의 감각을 뜻하는 미각(味覺),
뜻 의(意)와 함께 하여 글이나 말에 뜻의 느낌을 나타내는 의미(意味),
일으키고 흥하는 일 흥(興)과 같이 하여 일에 흥미를 느끼는 흥미(興味),
한 곳에 몰두하는 뜻 취(趣)와 같이 하여 좋아서 즐겨하는 하는 일인 취미(趣味)...,

昧(새벽/어두울 매)희미할 애(曖)와 함께 하여 희미하고 분명하지 않은 애매(曖昧)...,
오른쪽 그림에서 숫자 5가 보이나요?
보이는 듯 보이지 않아서 애매하죠?

색맹 테스트

妹(누이 매)윗누이 자(姊)와 함께 하여 언니와 여동생 사이를 뜻하는 자매(姊妹)
사내 남(男)과 함께 하여 오빠와 여동생 또는 누나와 남동생을 뜻하는 남매(男妹) 등에 쓰여요.

 

 

 

[Step6 맘짜 이야기]

 

 

※ 참고 문헌 :
   * 「한자어원사전」 하영삼 저
   * 「갑골문고급자전」 허진웅 저 / 하영삼,김화영 역
   * 「완역 설문해자」허신 저 / 하영삼 역
※  참고 사이트 : * Chines Etymology 字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