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맘짜랑 Step by Step

[step8-① 손 ] 手(손 수) 拜(절 배) 看(볼 간)

by 맘짜 2023. 4. 10.

우리는 손으로 많은 일들을 하죠.
글자에서도 손으로 그 뜻을 나타내는 글자들이 많아요. 
[Step 8] 에서는 그 중에서 많이 쓰이는 手(손 수), 움켜 쥐는 모습을 닮은 又(또 우), 세운 손가락 모습을 닮은 爪(손톱 조)  중심으로 볼게요. 

여러 손 동작과 동작과 유사한 手(손 수) 又(또 우) 爪(손톱 조)

 

 

 

手(손 수) 拜(절 배) 看(볼 간)

능력있는 손인 手(손 수)와 手가 구성된 拜(절 배), 看(볼 간)을 볼게요.

1. (손 수)

 

手(손 수) 금문 소전체

한자에서 '손'하면 手(손 수)가 대표적이죠?
금문소천체를 보면 고사리 잎처럼 표현했는데 잘 보면 손가락 수 만큼 뻗어있어요.
해서체에서도 세로획 중심으로 뻗어있는 획이 손가락 수와 똑같아요.

手(손 수)가 다른 글자와 같이 구성될 때는 모습 그대로 쓰이기도 하지만 「 」 쓰고 「 재방변 」이라 지칭해요. 획 하나가 빠져도 와 닮았어요.

手(손 수) 扌(재방변 수) 쓰기

 둘 다  처럼 아래 부분이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手(손 수)는 단순히 「    」 이란 뜻 말고도
손으로 직접 솜씨, 기술을 잘 발휘하듯이 「 재주, 솜씨, 방법... 」 등의 뜻을 가지고 있어요.
또 기술을 잘 발휘하는 것이 사람이듯이 특정한 사람인 「 전문가, 사람 」의 뜻도 있어요.

 

*(손 수) 쓰임

 

手(손 수)가 「 」의 뜻으로는
악수(握/쥘 악手) : 두 사람이 각자 한 손을 내밀어 마주잡음,
박수(拍/칠 박手) : 환영 기쁨 등을 표현하기 위해 두 손뼉을 마주치는 일,
등에 쓰이고

도구를 사용하는 손답게 「 재주, 방법, 기술... 」 등의 뜻으로는
수술(手術/재주 술) : 의료기기로 환자를 치료하는 일,
수단(手段/층계 단) :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
수법(手法/법 법) : 수단과 방법,
묘수(妙/묘할 묘手) : 생각하기 어려운 방법,
수속(手續/이을 속) : 일을 이루기 위한 순서 방법,
능수능란(能/능할 능手能爛/빛란 란) : 일이 익숙하고 솜씨가 좋음을 뜻함,
등에 쓰여요.

또  「 전문가, 사람 」의 뜻으로는
고수(高/높을 고手) : 기술이나 능력이 아주 뛰어난 사람,
가수(歌/노래 가手) : 노래를 아주 잘 하는 사람,
선수(選/가릴 선手) : 많은 사람 중 대표로 나가는 사람
포수(砲/대포 포手) : 총을 쏘아 짐승을 잡는 사냥꾼
조수(助/도울 조手) : 일을 도우는 사람
목수(木手) : 집, 가구 등을 만들 정도로 나무를 잘 다루는 사람
등에 쓰여요.

 

 

2. (절 배)

 

拜 (절 배) 금문 소전체

 

拜(절 배)두 손이 모아진 모습처럼 구성되었어요.
금문을 보면 [ Step7 ]에서 공부한 보리(來→麥)가 보이죠?
추수한 곡식을 신께 바치고 감사 드리며 절하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인데
소전체부터 손을 하나로 모으는 모습이 더 분명해 졌어요.

해서체에서 좌변은 갈고리 없이 手(손 수) 그대로 쓰지만
우변은 사다리 그리듯 써요.

拜(절 배) 쓰기

 

*(절 배) 쓰임

 

拜(절 배)
숭배(崇/높을 숭拜) : 어떤 대상을 높이 우러러 받드는 일,
참배(參/참여할 참拜) : 신께 절하는 참배, 참배는 무덤이나 기념비 앞에서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뜻,
세배(歲/해 세拜) : 매년 설날 어른들께 인사로 하는 절,
재배(再/두 재拜) : 두 번 절함,
예배(禮/예도 례拜) : 기도, 찬송 등 하나님에 대한 존경과 숭배를 나타내는 의식,
배금주의(拜金主/주인 주/옳을 의) : 재물을 숭배하여 모든 판단 기준이 재물에 두는 태도,
등에 쓰여요.

 

 

3. (볼 간)

看 (볼 간) 소전체

 

看(볼 간)은 갈고리 없는 으로 구성되어 위에 을 올리고 멀리 있는 곳을 보듯 표현한 글자에요.

 

만약 이곳이 적이 쳐들어 올 수도 있는 국경이라면 작은 움직임도 잘 살펴봐야겠죠?

능력을 발휘하는 과 짝꿍이 된 이라면 훨씬 더 잘 볼 수 있을 거예요.

看(볼 간)은 단순히 「보다」 뜻 말고도 잘 「살피다」, 「관찰하다」 뜻도 가지고 있어요.

 

 

*(볼 간) 쓰임

 

看(볼 간)
간파(看破/깨뜨릴 파) : 속내를 꿰뚫어 알아차림,
간주(看做/지을 주) : 그렇다고 여기는 일,
간호(看護/도울 호) : 환자나 노약자를 보살펴 돌보는 일,
간병(看病/병 병) : 앓는 사람이나 다친 사람의 곁에서 돌보고 시중을 드는 일,
간판(委板/널판지 판) : 이름 등을 써서 눈에 잘 뜨이게 걸거나 붙이는 표지판,
주마간산(走/달릴 주/말 마看山) : 말을 타고 산천을 봄, 사물을 자세히 보지 않고 바쁘게 대충 보는 일,
등에 쓰여요

 

 

 

 

 [ Step 8 맘짜이야기 ]

 

※ 참고 문헌 :
   * 「한자어원사전」 하영삼 저
   * 「갑골문고급자전」 허진웅 저 / 하영삼,김화영 역
   * 「완역 설문해자」허신 저 / 하영삼 역
※  참고 사이트 : * Chines Etymology 字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