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맘짜랑 Step by Step

[step7-④ 먹거리 ] 瓜(오이 과) 孤(외로울 고) 肉(고기 육)

by 맘짜 2023. 4. 6.

瓜(오이 과) 孤(외로울 고)

매달린 모습이 특징인 瓜(오이 과)와 子(아들 자)와 같이 구성된 孤(외로울 고)를 볼게요.

1. (오이 과)

瓜(오이 과) 금문 소전체

瓜(오이 과)넝쿨 사이에 열매가 매달린 모습을 본뜬 글자예요.
금문과 소전체을 보면 매달린 열매를 동그랗게 표현했고
동그라미가 없는 해서체에서는 세모꼴로 표현되었어요.

 

瓜(오이 과)는 오이처럼 채소나 과일에서 매달린 열매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쓰이고 좁게는 참외, 모과 뜻으로도 쓰여요.

 

 

*(오이 과) 쓰임

 

瓜(오이 과)
모과(木瓜) : 향긋하지만 시고 떫은맛의 열매, 여기서는 木을 ""로 읽어요.
과년(瓜年/해 년) : 여인이 자라 결혼하기 적당한 시기
등에 쓰여요.

 

특히「과년」이란 단어를 보면 열매가 무르익어 가지에서 떨어지듯이, 성장하여 부모 곁을 떠나는 때라는 느낌이 들죠.

 

 

 

2. (외로울 고)

孤(외로울 고) 아이를 뜻하는 子(아들 자)와 덩그러니 매달려 있는 열매의 특징을 살려
부모없이 홀로 된 아이를 표현한 글자예요.

孤 (외로울 고) 소전체
옹기종기 콩형제들

콩 꼬투리 안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콩 형제들과 달리 오이는 정말 외로워 보이죠.

 

 

*(외로울 고) 쓰임

 

孤(외로울 고)
고립(孤立/설 립) 다른 사람과 어울리지 못하고 홀로 떨어짐,
고독(孤獨/홀로 독) :세상에 홀로 있듯 외롭고 쓸쓸함,
고아((孤兒/아이 아) :부모를 여의고 홀로 된 아이
고군분투(孤軍/군사 군/떨칠 분/싸움 투) : 도움을 받지 못하고 적은 수의 군사로 적군과 잘 싸움, 힘에 벅찬 일을 잘 해낼 때 쓰임
등에 쓰여요.

 

 

 

3. (고기 육)

肉(고기 육) 금문 소전체

 



肉(고기 육)의 갑골문를 보면 고기 덩어리처럼 표현되었고 해서체에서는 고깃결을 그린 듯 표현했어요.

肉(고기 육)은 우리가 먹는 고기 뜻 말고도
확장해서 사람의 몸(육체)을 나타낼때도 쓰여요.

 

肉(고기 육)→月 (육달월 월)

肉(고기 육)이 다른 글자 안에서 구성되어질 때는 月로 쓰고 「육달월」이라 지칭해요.
보통 아래이거나 왼쪽에 위치해요.

明(밝을 명) 때 공부했었죠. 이 오른쪽에 있을 때는 月(달 월)로 쓰이니까 잘 구분해야 해요.

 

 

 

*(고기 육)→ 月(육달월 월)이 구성된 글자들의 특징

 

肉(고기 육)→月 쓰임

肉(고기 육)은 고기 뜻과 함께 등, 허파, 배, 어깨, 간, 다리처럼 몸에 여러 곳을 나타낼 때 쓰여요.

 

 

*(고기 육) 쓰임

 

肉(고기 육)
육식(肉食/먹을 식) : 음식으로 고기를 먹음,
근육(筋/힘줄 근肉) : 힘줄, 살로 이루어져 운동을 담당하는 기관
육체(肉體/몸 체) : 구체적인 사람의 몸
육성(肉食/소리 성) : 사람의 입에서 직접 나오는 소리,
육안(肉眼/눈 안) : 망원경, 현미경 등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사물을 보는 눈,
육탄(肉彈/탄알 탄) : 몸을 탄알 삼아 직접 적진을 공격하는 일,
과육(果/과실 과肉) : 열매에서 씨, 껍질을 제외한 부분
등에 쓰여요.

 

 

 

[Step7 맘짜 이야기]

 

 

 

※ 참고 문헌 :
   * 「한자어원사전」 하영삼 저
   * 「갑골문고급자전」 허진웅 저 / 하영삼,김화영 역
   * 「완역 설문해자」허신 저 / 하영삼 역
※  참고 사이트 : * Chines Etymology 字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