又(또 우)와 爪(손톱 조)의 느낌을 생각하면서 女(여자 녀)가 동일하게 구성된
奴(종 노), 妥(온당할 타)를 같이 볼게요.
1. 奴 (종 노), 妥(온당할 타)
奴(종 노)는 일을 시키기 위해 욕심껏 여성을 잡는 모습이에요.
영토확장과 약탈을 위해 전쟁이 잦았던 옛날 시대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죠.

奴는 「 여자, 남자 구분없이 사회 계급이 아주 낮은 종 」을 지칭하게 되었고 좁게는 「 남자 종 」뜻으로도 쓰이게 되었어요.
종 → 남자종
반면 妥(온당할 타)의 금문를 보면 夫(지아지 부)에서 보왔던 비녀가 등장하는데 글자 구성상 아내가 될 여인을 고르는 것처럼 보여요.
결혼하기 전 자신과 맞는 여인을 고르는 일은 가정을 평안하게 하는 온당한 일이겠죠.
妥 는 「 온당하다 」 , 「 평안하다 」 뜻으로 쓰여요.
* 온당하다 : 판단이나 행동을 바르게 하는 것

* 奴 (종 노), 妥(온당할 타) 쓰임
奴(종 노)는
노예(奴隸/종 예) : 자유를 뺏기고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사람,
노비(奴婢/여종 비) : 사내종과 여종을 아울러 이르는 명칭,
관노(官/벼슬 관奴) : 관가에 속했던 노비
등에 쓰여요.
妥(온당할 타)는
타협(妥協/화합할 협) : 서로에게 좋도록 조율하여 협의,
타결(妥結/맺을 결) : 서로 조율하여 일을 끝맺는 타결,
타당(妥當/마땅할 당) : 일이 이치에 맞는 성질,
등에 쓰여요.
2. 取 (가칠 취)
耳(귀 이)와 又(또 우)로 구성된 取(가질 취)는 전투에서 세운 공을 드러내기 위해
적군의 귀를 베어내 가지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에요. 적군의 귀를 많이 가질 수록 공을 인정 받았던 것이죠.
다른 사람의 신체 일부로 자신의 공을 드러낸다는 것이 인권이 성장한 요즘 시대에서 보면 굉장히 잔인하죠.
* 取 (가칠 취) 쓰임
取(가칠 취)는
채취(授取) : 식물을 베거나 광물 어패류 등를 캐내어 얻는 일,
취재(取材/재목 재) : 작품이나 기사 등을 쓸 때 필요한 자료를 수집 조사하는 일,
취조(取調/고를 조) : 범죄 사실을 밝히기 위해 조사하는 일,
취소(取消/사라질 소) : 어떤 계획이나 일정 등을 없었던 것으로 함,
청취(聽/들을 청取) : 방송, 보고 등를 들음,
섭취(攝/당길 섭取) : 영양소 등을 몸안에 받아들임,
쟁취(爭/다툴 쟁取) : 서로 겨루어 싸워 얻음,
탈취(奪/빼앗을 탈取) : 남의 돈, 물건 등을 강제로 빼앗아 가짐
등에 쓰여요.
爪→爫(손톱 조)와 冖(덮을 멱), 又(또 우)로 구성된 受(받을 수)와
手→扌(재방변)이 더해진 授(줄 수)를 볼게요.
3. 受 (받을 수), 授 (줄 수)
受(받을 수)의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손 사이( 爫 , 又 )에 冖 대신 그 당시 유용한 이동 수단이었던 배가 등장해요.
화폐가 등장하기 이전엔 물물교환으로 서로 필요한 물건을 구했었죠?
글자 구성을 보면 배를 타고 이동해 서로에게 필요한 물건을 주고 받았던 것을 알 수 있어요.
본래 受는 물물교환처럼 「 주다 」와 「 받다 」를 동시에 뜻하는 글자였어요.
소전체부터 冖 이 등장하면서 受는「 받다 」뜻으로 손(手→扌)이 더해진 授가 「 주다 」 뜻으로 분리 되었어요.
그림으로 보면 扌과 爫가 짝꿍이 되어
'주는 손'이 되었죠.
변신력 만렙인 冖 은 어떤 물건도 될 수 있어요.^^

* 受 (받을 수), 授 (줄 수) 쓰임
먼저 受(받을 수)는
수상(受賞/상줄 상) : 상을 받는 일,
수업(受業/업 업) : 학문의 가르침을 받는 일,
전수(傳/전할 전受) :기술이나 지식 등을 전해 받는 일
등에 쓰여요.
授(줄 수)는
수여(授與/줄 여) : 증서나 상을 주는 일,
수업(授業/업 업) : 학문을 가르쳐 주는 일,
전수(傳/전할 전授) :기술이나 지식 등을 전해 주는 일
등에 쓰여요.
같은 단어라도 어떤 한자를 쓰느냐에 따라 뜻이 다르죠. 잘 구분해서 써야 해요.^^
※ 참고 문헌 :
* 「한자어원사전」 하영삼 저
* 「갑골문고급자전」 허진웅 저 / 하영삼,김화영 역
* 「완역 설문해자」허신 저 / 하영삼 역
※ 참고 사이트 : * Chines Etymology 字源
'맘짜랑 Step by St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p9-② 발 ] 足(발 족) 疋(발 소) (0) | 2023.05.07 |
---|---|
[step9-① 발 ] 止(그칠 지) 企 (꾀할 기) 正 (정할 정) 之(갈 지) (0) | 2023.04.25 |
[step8-② 손 ] 又(또 우) 爪(손톱 조) 桑(뽕나무 상) 采(풍채 채) 採(딸/캘 채) (0) | 2023.04.12 |
[step8-① 손 ] 手(손 수) 拜(절 배) 看(볼 간) (2) | 2023.04.10 |
[step7-④ 먹거리 ] 瓜(오이 과) 孤(외로울 고) 肉(고기 육) (0) | 202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