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맘짜랑 Step by Step

[Step3-③ 사람] 女(여자 녀/여) 母(어머니 모)

by 맘짜 2022. 11. 27.

女(여자 녀) 母(어머니 모)

여성을 나타낸 女(여자 녀/여)母(어머니 모)를 같이 공부할게요.

 

  (여자 녀/여)    母 (어머니 모)

전쟁이 잦고 농경 중심 사회였던 고대시대에서는 힘이 우선시될 수밖에 없었고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여자는 사회적 지위가 낮을 수밖에 없었어요.

 

女(여자 녀) 母(어머니 모) 갑골문 금문 소전체 비교

①갑골문부터 소전체를 보면 人(사람 인)大(큰 대)에서 볼 수 없었던 무릎을 꿇은 모습이 보이죠.
표현하는 자세에서 옛날 여성의 사회적 지위을 느낄 수 있어요.

 

女(여자 녀) 母(어머니 모) 갑골문 금문 소전체 비교

②여성의 큰 특징인 가슴을 그린 것 같기도 하고 팔을 모은 것은 같은 표현이 공손한 모습을 더 배가 시켰어요. 멀티의 극치죠. 아주 효율적이에요.

母(어머니 모)에서는 젖이 나오는 모습이 추가되어 여인이 아이를 키우는 엄마인 것을 바로 알 수 있어요.

 

女(여자 녀) 母(어머니 모) 갑골문 금문 소전체 비교

④해서체부터는 女(여자 녀/여)母(어머니 모) 모두 상체 부분만 표현되었는데
女(여자 녀/여)에서는 한 부분이 생략되어 팔이 모여 더욱 공손해진 느낌으로 표현되었고
母(어머니 모)에서는 상체에서 젖이 나오는 모습이 더해져 가슴이 더욱 강조 되었어요.
女(여자 녀)母(어머니 모)는 글자 모양이 서로 다른 것 같지만 알고 보면 둘 다 여인의 모습이죠.

 

女(여자 녀) 母(어머니 모) 쓰기 순서

女(여자 녀/여)母(어머니 모)는 쓰는 순서도 비슷해요. Lㄱ 쓰듯 쓰고 母(어머니 모)에서 점 두 개 찍고 같이 가로획을 쓰면 돼요.

 

毋(말 무) 부수에 분류된 母(어머니 모)

女(여자 녀/여)는 부수로 지정되어 여인을 나타내는 글자에 구성되는데 母(어머니 모)는 특이하게도 여성의 가슴에 획을 그어 ‘하지 말라’ 라는 뜻인 毋(말 무) 부수에 분류되어 있어요.

 

 

 

※ 여성을 나타내는 글자에 획을 추가해 ' 하지 말라 ' 라는 뜻으로 사용했다는 것은 옛날 여성의 사회적 제약이 컸던 것을 알 수 있어요.
요즘도 여성 인권이 낮은 나라일수록  제약이 많죠.
부르카
※ 毋(말 무)는 모양은 같지만 다른 뜻인 毌(꿰뚫을 관)으로도 쓰여요.
 

 

 

 

*(여자 녀/여) 쓰임

 

열녀 수녀 소녀

女(여자 녀/여)여자, 딸 뜻으로 주로 쓰이는데 쓰임을 보면 주로 수도하는 수녀(修女), 하늘에 사는 선녀(仙女), 한 지아비만 따랐던 열녀(烈女), 아직 다 자라지 않은 여인인 소녀(少女)처럼 여러 여성을 이르는 단어에 쓰이고 또 '' 뜻으로는 어머니와 딸을 뜻하는 모녀(母女)에 쓰여요.

 

 

*(어머니 모) 쓰임

 

부모 이모 고모

母(어머니 모)도 어머니를 정중히 이르는 모친(母親), 아버지 어머니를 뜻하는 부모(父母)처럼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데, 특히 이모(姨母), 고모(姑母), 외삼촌의 아내인 외숙모(外叔母) 아내의 어머니인 장모(丈母) 등 어머니뻘을 나타내는 명칭에 많이 쓰여요.

또 자신이 나온 학교인 모교(母校), 자신이 태어난 나라인 모국(母國) 등 태어난 곳의 원천(源泉)을 강조한 단어에도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어요.

 

 

 

[Step3 맘짜 이야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