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위에 흙덩이를 본 뜬 土(흙 토) 입에서 토한 모습이 생각나는 吐(토할 토)를 같이 볼게요.
1. 土 (흙 토)
흙은 동식물이 생장하는 토대(土臺)가 되죠. 또 그 흙이 있는 땅에선 사람이 사는 터전이 되구요.
土(흙 토)의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땅 위에 흙더미를 쌓아 놓은 모습처럼 표현되었어요. 금문을 보면 日(날 일) 금문에서 보왔던 둥근 점이 여기서도 보여요.
* 土(흙 토)가 구성된 글자들의 특징
土(흙 토)가 구성된 글자들을 보면 흙더미가 쌓인 모습처럼 塔(탑 탑), 壁(벽 벽), 堤(둑 제), 墻(담 장), 쇳물을 붓기 위해 거푸집이 모여 있는 型(모형 형) 등에서는 쌓아 올리고 드러나는 물체를 나타낼 때 쓰여지고
※「개성 경천사 터 십층석탑」 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e뮤지엄 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어요.
씨앗 심기 좋게 부드러운 흙을 나타내는 壤(흙덩이 양), 地(땅 지), 基(터 기), 垈(집터 대), 塏(높은 땅 개), 坰(들 경), 坦(평탄할 탄) 등에선 ‘흙’ 자체이거나 여러 형태의 ‘땅’을 나타낼 때도 쓰여요.
또 墓(무덤 묘) 埋(묻을 매).. 에선 흙이 씨앗을 품는 것처럼 흙에 ‘묻는 것’ 을 표현한 글자도 있어요
※ 「포천 자작리 유적지」 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문화재청 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어요.
* 土(흙 토) 쓰임
土(흙 토)는 ‘흙’ 말고도 여러 뜻으로도 쓰여지는데 대표적으로 사람이 사는 터전인 ‘땅’, 옛 사람들이 주로 한 곳에서 터전을 이루듯이 ‘나라, 지방, 고향’의 뜻으로 많이 쓰여요.
흙 , 땅 , 한정된 지역(나라, 지방, 고향)
土(흙 토)의 쓰임을 보면 ‘흙’의 다른 표현으로 지구 표면에 퇴적 물질인 토양(土壤), 흙의 성질을 뜻하는 토질(土質), 흙과 모래를 뜻하는 토사(土沙) 등에서는 ‘ 흙 ’의 의미로 쓰여졌고
농사를 짓고 사람이 사는 땅인 토지(土地), 한 나라의 땅인 국토(國土), 목조물에서 땅처럼 기둥을 고정시키는 대인 토대(土臺) 등에서는 ‘ 땅 ’의 의미로 쓰여졌어요.
※ 「대동여지도」 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e뮤지엄 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어요.
또 한정된 지역(나라, 지방, 고향) 의 의미로는
그 지방의 특유한 풍속인 토속(土俗), 본디 그 지역에서 나고 자라는 동식물인 토종(土種),
대대로 그 땅에서 살거나 자리잡고 사는 토착(土着) 등에서 쓰여졌어요.
2. 吐 (토할 토)
口(입 구)와 土(흙 토)로 구성된 吐(토할 토)를 볼게요.
土(흙 토)는 땅에 위 흙덩어리를 표현한 글자였어요. 토할 토(吐)에서는 입을 통해 위장의 음식물을 게우면 비슷한 모습이 되겠죠.
* 吐(토할 토) 쓰임
吐(토할 토)의 쓰임을 보면 일상에서 입 밖으로 음식물을 게우는 의미 로
'토(吐)하다', 구토(歐吐)에서 자주 쓰이고
또 속에 담아 두었던 말을 드러내 보이는 뜻으로도 쓰여져서
거짓없이 사실을 말하는 실토(實吐),
실토와 비슷한 말로 숨겼던 사실을 비로소 말하는 토설(吐說)(사극에서 자주 나와요^^) 등에 쓰여요.
'맘짜랑 Step by St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p3-② 사람] 大(큰 대) 太(클 태) 夫(지아비 부) (0) | 2022.11.22 |
---|---|
[Step3-① 사람] 人(사람 인) 休(쉴 휴) 仙(신선 선) (0) | 2022.11.11 |
[Step2-⑤ 해 달 불 물...] 木(나무 목) 沐(머리 감을 목) 相(서로 상) (0) | 2022.11.01 |
[Step2-④ 해 달 불 물...] 氷(얼음 빙) 金(쇠 금) (0) | 2022.10.29 |
[Step2-③ 해 달 불 물...] 火(불 화) 水(물 수) (0) | 2022.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