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맘짜랑 Step by Step

[Step2-⑤ 해 달 불 물...] 木(나무 목) 沐(머리 감을 목) 相(서로 상)

by 맘짜 2022. 11. 1.

木(나무 목) 沐(머리 감을 목) 相(서로 상)

木(나무 목)과 木이 재밌게 구성된 沐(머리 감을 목)과 相(서로 상)을 볼게요.

 

1. (나무 목)

 

집 베틀 다리 울타리 그릇 거문고 수레를 만드는 나무

예부터 나무는 집, 베틀, 수레 등 우리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만드는 없어선 안될 존재였죠.

 

木 (나무 목) 갑골문 금문 소전체

木(나무 목) 갑골문부터 보면 뿌리와 가지 부분이 기둥 위 아래로 나누어져 있어요.
소전체까지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 해서체에서는 가지와 뿌리가 붙어있어요. 그렇다면 ┴ 부분이 땅 위부분이고 나머지 부분이 뿌리인 거죠. 전체적으로 강직한 기둥의 느낌이 더 강해졌어요.
  • 木(나무 목) 가지 부분과 뿌리 부분 구분

木(나무 목) 필순

(나무 목)이 구성된 글자들의 특징

 

木(나무 목)이 구성된 글자들 - 松(소나무 송) & 사계절이 푸른 소나무 이미지, 機(틀 기) & 베틀 이미지, 樂(노래 악) & 가야금 이미지

木(나무 목) 부수의 쓰임을 보면 松(소나무 송)처럼 나무 품종을 지칭할 때나 베틀에서 확장된 機(기계 기), 악기에서 확장된 樂(즐거울 락)처럼 도구에서 확장된 글자 등에 많이 쓰여요.

 

*   木(나무 목) 쓰임

 

목수가 톱질하는 이미지

木(나무 목) 쓰임을 보면 집, 물건을 만드는 일이나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을 뜻하는 목공(木工),
목공일이 직업인 목수(木手), 목공에 필요한 재료인 목재(木材) 등 나무가 관계되는 여러 곳에서 쓰여요.

 

 

2. (머리감을 목)

 

나무와 얼굴이 변화하는 이미지

木(나무 목)으로 구성된 글자를 공부하다 보면 나무를 사람에 비유해야 더 재밌게 이해되는 글자들을 종종 볼 수 있어요.
특히 나무 품종마다 나무 재질, 잎, 열매가 다르듯 품성이 드러나고 생각을 하는 머리에 비유돼요.

 

 

沐 (머리감을 목) 갑골문 소전체

 

氵(삼수변)木(나무 목)으로 구성된 沐(머리 감을 목)을 볼게요.

 

나무에 물 주는 장면에서 머리 감는 장면으로 전환되는 이미지

글자를 그림으로 표현해 보면 나무에 물을 주고 있는 것 같죠. 그런데 뜻은 '머리를 감다'에요. 재밌죠.^^

 

*  沐(머리 감을 목) 쓰임

 

  •  
    샤워기 아래에서 목욕하는 이미지
  • 쓰임을 보면 머리를 감고 온몸을 닫는 목욕(沐浴)에 쓰여요.

 

※ 설문해자  에서는 씻는 부위에 따라 쓰는 글자가 다른데  머리를 감을 때는 沐(머리 감을 목), 얼굴을 씻을 때는 沬(씻을 회/땅이름 매), 손을 씻을 때는 澡(씻을 조), 발을 씻을 때는 洗(씻을 세),  몸을 씻을 때는 浴(목욕할 욕)으로 구분해요. 씻는 부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것도 재밌죠.^^ 

 

 

 

3. (서로 상)

 

相 (서로 상) 갑골문 금문 소전체


木(나무 목)目(눈 목)으로 구성된 서로 상(相)을 볼게요.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나무를 꼼꼼하게 보는 것 같죠. 그런데 뜻은 둘 사이를 뜻하는 '서로' 에요.

 

여기서도 처럼 나무를 사람 머리로 보면 더 쉽게 이해 가요.^^
보는 사람과 ②대상(對象), 두 사람이 똑같이 서로 살펴보는 것이죠.  금문을 보면  '같다' 의미로 쓰인 二(두 이)가 있는 글자도 있어요. 

나무를 살피다가 나무가 사람으로 전환되어 서로 마주 보는 모습

 

 

相(서로 상)에서 서로 얼마나 냉철하게 살피는지 여러 날씨를 표현하는 雨(비 우)가 들어가면 수증기가 얼어붙는 霜(서리 상) 이 돼요. 인정사정 두지 않고 냉정하게 바라보며 관찰하는 느낌이 팍팍 오죠.^^

두 여인이 살벌하게 바라보고 주위에 차가운 서리가 끼는 이미지

 

 

(서로 상) 쓰임

 

두 사람이 마주 보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相(서로 상)은 이쪽저쪽 서로를 뜻하는 상호(相互),  중요한 일을 서로 이야기하는 상의(相議)

 

  •    
  • '서로' 뜻 말고도 상대를 ' 자세히 보다 ' 뜻으로도 쓰여져 얼굴 생김새를 구분 지어 운명을 연결해 보는 관상(觀相)등에도 쓰여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