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走(달릴 주)
走(달릴 주)의 옛 글자체를 보면
양팔을 휘저으며 달리는 모습과 발로 구성되었어요.
해서체에서는 달리는 모습이 변형(夭→土)되어 지금의 글자체(走)가 되어 달리는 뜻을 나타내요.

* 走(달릴 주)가 구성된 글자들의 특징
走(달릴 주)가 구성된 글자들을 보면 속도감과 목적성이 분명한 것을 알 수 있어요.
取(가칠 취)와 같이 구성되면
내가 원하고 좋아하는 곳으로 달려가는 趣(달릴/뜻 취) ,
*「 취미(趣味/맛 미), 취지(趣旨/뜻 지), 취향(趣向/향할 향),정취(情/뜻 정趣)... 」
손(勹)으로 풀(艸)을 뜯는 芻(꼴 추)와 같이 구성되면
꼴을 베기 위해 풀을 쫓듯 열심히 뒤쫓아 달리는 趨(달릴/달아날 추) ,
*「 추세(趨勢/형세 세), 귀추(歸/돌아갈 귀趨)... 」
* 꼴 : 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召(부를 초)와 같이 구성되면
부름에 부응하여 빠르게 달려가 장애물도 뛰어넘는 超(뛰어넘을 초) ,
*「 초과(超過/형세 세), 초고속(超高/높을 고速/빠를 속), 초인적(超人的/과녁 적)... 」
날이 둥글고 넓은 무거운 도끼로 주로 처형할 때 쓰여져 권위까지도 상징했던 戉(도끼 월)과 같이 구성되면
빠르게 건너가고 어떤 범위나 권한을 뛰어넘는 越(넘을 월) ,
*「 초월(超越), 월등(越等/무리 등), 우월(優/뛰어날 우越), 추월(追/쫓을 추越), 월북(越北/북녘 북), 월남전(越南/남녘 남戰/싸움 전)... 」
卜(점 복)과 같이 구성되면
점을 치고 결과를 알리러 달려가는 赴(알릴/다다를 부) ,
*「 부임(赴任/맡길 임), 부역(赴役/부릴 역)... 」
※ 走가 구성된 徒(무리 도)는 달리는 모습이 아니라 길(彳), 흙더미(土), 발(止)로 구성되어 이동 인구가 많은 거리에서 사람들이 모여 있는 것처럼 표현하고 있어요.

* 走(달릴 주) 쓰임
走(달릴 주)는
질주(疾/병 질走) : 빨리 달림
도주(逃/도망할 도走) : 피하여 달아남
경주(競/다툴 경走) : 빠르기를 겨룸
탈주(脫/벗을 탈走) : 감금된 곳에서 빠져나와 달아남
주행(走行/다닐 행) :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이 길을 달림
폭주(暴/사나울 폭走) : 매우 빠른 속도로 난폭하게 달림
등에 쓰여요.
1. 辵 (쉬엄쉬엄 갈 착)
辵(쉬엄쉬엄 갈 착)은
사거리 한 부분과 발로 구성 되었어요.
(行→彳→彡)+止
走가 빨리 달려가는 발이라면
辵은 길 따라가는 발이에요.

辵은 단독으로 잘 쓰여지진 않고 변형되어 다른 글자와 같이 구성되는데 글자를 받쳐주듯이 쓰여지고,
「 책받침 」 이라 지칭해요.
辵은 ①⻎ , ②⻍ , ③⻌ 으로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쓰여요.
※ ①⻎은 필기 할 때 많이 쓰이고 ②⻍와 ③⻌은 인쇄 할 때 많이 쓰이고 있어요.
역대 자전들을 종합 편찬한 역사상 공신력이 대단했던 강희자전(BC 1716년)α에서는 ②⻍ 를 표준으로 하고 있는데 자전에 쓰인 글자체를 강희자전체라 할 만큼 본보기 역할도 했어요.
한자를 쓰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점 획이 줄은 ③⻌을 인쇄체로 사용하고 우리나라에서는 ②⻍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오히려 우리나라에서 옛 글자 모습을 유지하는 것이 재밌죠.^^
* 辵(쉬엄쉬엄 갈 착)이 구성된 글자들의 특징
走 특징이 속도감과 목적성이라면 辵은 이동성에 초점을 두고 있어요.
깃발이 나부끼는 㫃(나부낄 언), 子(아들 자)가 같이 구성되면
바람 따라 자유로이 펄럭이는 깃발처럼 아이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遊(놀 유) ,
*「 유희(遊戱/놀 희), 유세(遊說/달랠 세), 유람선(遊覽/볼 람船/배 선), 유원지(遊園/동산 원地/땅 지 ... 」
벌목, 경작, 나무 다듬기... 용으로 생활필수품이었던 斤(도끼 근)과 같이 구성되면
자주 사용하는 도끼를 가지러 갈 만큼 가까운 거리인 近(가까울 근) ,
*「최근(最/가장 최近), 근대(近代/대신 대), 측근(側/곁 측近), 접근(接/이을 접近), 인근(隣/이웃 린近), ... 」
隹(새 추)와 같이 구성되면
새가 앞으로 나아가며 날아가는 進(나아갈 진) ,
*「추진(推/밀 추進), 진행(進行/다닐 행), 촉진(促/재촉할 촉進) 진보(進步/걸을 보), 증진(增/더할 증進) ... 」
종을 본뜬 甬(길 용)과 같이 구성되면
종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通(통할 통) ,
*「통로(通路/길 로), 통화(通過/지날 과), 유통(流/흐를 류通), 통신(通信/믿을 신), 교통(交/사귈 교通), 통과(通過/지날 과) ... 」
전차(車)를 몰고 싸우는 軍(군사 군)α과 같이 구성 되면
군대가 움직이는 運(옮길 운) ...
*「운동(運動/움직일 동), 운명(運命/목숨 명), 운용(運用/쓸 용), 운행(運行/다닐 행), 운영(運營/경영할 영) ... 」
辵(⻎ ⻍ ⻌)은 글자 구성에서 아주 많이 쓰여지고 있어요.
※ 참고 문헌 :
* 「한자어원사전」 하영삼 저
* 「갑골문고급자전」 허진웅 저 / 하영삼,김화영 역
* 「완역 설문해자」허신 저 / 하영삼 역
※ 참고 사이트 :
* Chines Etymology 字源
'맘짜랑 Step by St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p11 실] 幺(작을 요) 絲(실 사) 糸(가는 실 멱) (0) | 2023.07.17 |
---|---|
[step10 사람Ⅱ] 儿(어진사람 인) (0) | 2023.06.20 |
[step9-② 발 ] 足(발 족) 疋(발 소) (0) | 2023.05.07 |
[step9-① 발 ] 止(그칠 지) 企 (꾀할 기) 正 (정할 정) 之(갈 지) (0) | 2023.04.25 |
[step8-③ 손 ] 奴(종 노) 妥(온당할 타) 取(가질 취) 受(받을 수) 授(줄 수) (0) | 2023.04.18 |
댓글